힘내자 아자/생활정보

[오늘 처서] 더위 끝? 역대급 폭염! (2025년 처서 날짜, 날씨, 음식, 속담 총정리)

최디터 2025. 8. 23.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는 속담,

한 번쯤 들어보셨죠? 바로 오늘,

 

8월 23일이 그 주인공인 24절기의 열네 번째 절기,

'처서(處暑)'입니다.

 

이름 그대로 '더위가 그치는' 날이자 가을의 문턱에 들어서는 날인데요.

 

그런데 창밖 날씨, 어떤가요?

조상님들의 말씀과 달리,

2025년의 처서는 '처서 매직'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전국적인 폭염과 열대야가 예고되었습니다.

 

과연 우리 조상들이 말한 처서는 어떤 날이었을까요?

지금부터 처서의 전통적인 의미와 풍습,

그리고 '모기 입도 멀쩡한'

올해 처서를 건강하게 나는 방법까지 총정리해 드릴게요!

 

[오늘 처서] 더위 끝? 역대급 폭염! 2025년 처서의 모든 것. 이 글에서는 처서의 전통적인 의미와 풍습, 역대급 늦더위가 예고된 올해 처서의 날씨, 그리고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제철 보양 음식까지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

'더위가 그치는 날', 처서(處暑)란? 🍁

처서는 24절기 중 14번째 절기로, 여름의 마지막 절기인 '입추'와 본격적인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백로' 사이에 위치합니다. 한자 그대로 '머무를 처(處)'에 '더위 서(暑)'를 써, 더위가 멈추고 물러가는 시기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과거 우리 조상들은 처서가 지나면 지긋지긋했던 폭염과 열대야가 한풀 꺾이고, 아침저녁으로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고 믿었습니다. 이때부터 풀의 성장이 멈춘다 하여 다가올 추석을 대비해 조상의 묘를 돌보는 '벌초'를 시작하고, 장마철 눅눅해진 옷과 책을 햇볕에 말리는 '포쇄(曝曬)'를 하며 가을맞이를 준비했습니다.


2025년 처서 날씨: "모기 입도 멀쩡한데요?" ☀️

하지만 2025년 오늘, 처서의 전통적인 의미가 무색하게도 전국은 여전히 펄펄 끓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처서 매직'은 옛말이 된 듯합니다.

2025년 8월 23일 (토) 처서 날씨 예보
기온 아침 최저 22~28℃, 낮 최고 31~36℃ (평년보다 높음)
특징 높은 습도로 체감온도 35℃ 내외의 폭염 및 열대야 지속
강수 전국 내륙 곳곳에 돌풍, 벼락을 동반한 강한 소나기 가능성
미세먼지 '좋음' ~ '보통' 수준으로 양호

서울과 대구 등 일부 지역은 역대 가장 더운 처서로 기록될 가능성도 있다고 하니, 온열질환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처서에 조상들은 무엇을 했을까? (풍습과 속담) 🌾

날씨는 변했지만, 절기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와 풍습을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입니다.

💡 처서의 대표 풍습
- 벌초: 풀의 성장이 멈추는 시기라 이때 깎아야 추석까지 묘가 깔끔하게 유지된다고 믿었습니다.
- 농사점 보기: 처서에 비가 오면 그해 쌀 수확량이 줄어든다고 여겨,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의 든 쌀이 줄어든다"는 속담이 생겼습니다.
- 포쇄(음건): 여름내 습했던 옷과 책을 말려 곰팡이를 방지하고 보송보송하게 보관했습니다.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

이는 처서 이후로는 만물의 생장 기운이 꺾이고 쇠퇴하기 시작한다는 자연의 순리를 담은 속담입니다.


늦더위 이기는 처서 제철 음식 BEST 5 🍲

조상들은 처서 무렵, 여름내 더위에 지친 기력을 회복하고 다가올 환절기에 대비하기 위해 제철 보양식을 챙겨 먹었습니다. 늦더위로 지친 우리에게도 꼭 필요한 음식들입니다.

  • 추어탕: '가을 미꾸라지는 문짝 걸어 잠그고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영양이 풍부합니다. 원기 회복과 소화에 도움을 줍니다.
  • 복숭아: 여름의 끝물 복숭아는 당도가 최고조에 달합니다. 피로 해소와 피부 건강에 탁월합니다.
  • 전어: '가을 전어는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게 한다'는 속담의 주인공이죠. 이때부터 지방이 차올라 가장 고소한 맛을 냅니다.
  • 애호박 칼국수: 따뜻한 성질의 애호박은 위장을 편안하게 해주고, 칼국수는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할 때 몸을 따뜻하게 데워줍니다.
  • 옥수수: 8월 하순은 옥수수 당도가 가장 높은 시기입니다. 든든한 간식으로 기력을 보충하기 좋습니다.

비록 이름값을 못하는 뜨거운 '처서'를 맞이했지만, 절기에 담긴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은 계절의 변화를 느끼는 또 다른 즐거움입니다. "더위야, 이제 그만 물러가라"는 조상들의 염원이 올해는 조금 늦게 이루어질 것 같네요.

오늘 저녁 메뉴로 뜨끈한 추어탕 한 그릇 어떠신가요? 맛있는 제철 음식과 함께 남은 늦더위를 건강하게 이겨내고, 성큼 다가올 가을을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


'처서' 관련 자주 묻는 질문 ❓

Q: 2025년 처서는 정확히 언제인가요?
A: 2025년 처서는 8월 23일 토요일입니다.

 

Q: '처서 매직'이 정말 없어진 건가요?
A: 기후 변화로 인해 처서를 기점으로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예전보다 뚜렷하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절기상으로는 여전히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전환점으로, 점차 기온이 하강하는 추세가 시작됩니다.

 

Q: 처서에 벌초를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A: 네, 조상들은 처서가 지나면 풀의 성장이 멈춘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이때 벌초를 해야 다가오는 추석 명절까지 묘소가 깨끗하게 유지된다고 생각했습니다.

 

Q: 처서 다음 절기는 무엇인가요?
A: 처서 다음 절기는 '백로(白露)'로, '흰 이슬'이라는 뜻입니다. 이때부터는 밤 기온이 더 내려가 풀잎에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며 본격적인 가을이 시작됩니다.

 

Q: '처서가 지나면 참외 맛이 없어진다'는 속담은 사실인가요?
A: 네, 어느 정도 사실입니다. 참외는 대표적인 여름 과일로, 처서가 지날 무렵이면 제철이 끝나 당도가 떨어지고 맛이 덜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